|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Checklist > For Authors and Reviewers > Checklist


다음은 귀하의 원고가 본 학회의 투고규정에 맞도록 항목별로 충실히 작성되어 있는지 점검하는 저자 점검표입니다. 원고를 투고할 때 해당 칸에 표시하여 ‘저자 동의서’와 함께 제출하십시오.

아래 ‘원’은 원저, ‘증’은 증례에 해당되는 것으로 귀하가 제출하는 원고의 종류에 따라 해당 원저나 증례가 표시된 항목의 확인란에 각각 V 표시하기 바랍니다.

항 목 원고종류 확인 점검 내용
전 체 원, 증 본 원고의 내용이 다른 학회지에 무단으로 중복게재되지 않았음.
원, 증 원고작성: A4용지에 글자는 명조체 계통 12 point로 좌측정렬, 줄 간은 1행의 행간여백 작성
원, 증 표지를 1쪽으로 하여 각 쪽의 우측 하단에 일렬 쪽 번호를 기입
원, 증 표지 이외에 원고 안에는 저자명이나 소속 또는 기관명을 기록하지 않는다.
원저는 표지, 영문초록,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표 및 그림설명의 순서이며, 표지, 영문초록, 서론, 참고문헌, 표 및 그림설명은 각각 새로운 페이지에서 시작
증례는 표지, 영문초록, 서론, 증례, 고찰, 참고문헌 및 그림설명의 순서이며, 표지, 영문초록, 서론, 참고문헌 및 그림설명 각각 새로운 페이지에서 시작
원, 증 저자 점검표 작성
원, 증 저자 동의서 작성
표지 원, 증 교신저자의 우편번호,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를 영문으로 기재
원, 증 표지를 규정대로 작성, 하단에 난외 표제를 규정대로 작성
영문초록 원, 증 영문은 영문법에 맞도록 작성
원, 증 영문제목이 한글제목과 일치하도록 작성, 영문성명, 영문소속의 올바른 기재
Objectives, Methods, Results, Conclusions 순으로 분리하여 250단어 이내로 작성
원, 증 Keywords 작성(Index Medicus의 MeSH 권장 단어로 사용,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
본 문 원, 증 한글 사용, 가능한 용어는 한글로 기재
원, 증 영문 사용할 때 지명, 인명, 고유명사 등을 제외하고는 소문자로 기재
원, 증 참고문헌은 인용 순서대로 일련번호로기재
원, 증 참고문헌 각괄호 (ex, [1]) 사용하여 기재, 투고규정 준수
원, 증 영어단어 약자 사용할 때, 처음에는 원어(약자)를 사용하고, 다음부터는 약자 사용
원, 증 세균명, 라틴어, p 값 등은 이탤릭체로 기술
대상 및 방법과 결과는 소제목으로 구분하여 기술
결론이 필요한 경우에 고찰말미에 결론 내용을 기술
원, 증 단위는 투고규정에 맞도록 기재(%, oC를 제외하고는 한 칸씩 띄어 쓴다)
원, 증 숫자 표시할 때 천 단위 간격으로 ‘쉼표(,)’ 표시 (예: 123,456,800)
원, 증 환자의 동의 사항이 필요한 경우에 동의 사항을 기재
원, 증 사용된 모든 통계방법의 정확한 기술
참고문헌 원, 증 참고문헌 수(원저 30편, 증례 15편 이내로 권장함)
원, 증 원고에서 인용한 부분과 참고문헌 번호의 일치
원, 증 저자가 6명 이상인 경우, 6명만 기입하고 나머지는 ‘et al.’로 기재
원, 증 인용학술지의 공인 약자(Index Medicus) 확인
원, 증 참고문헌의 연도권:시작 페이지-끝 페이지 표시정확성 여부
원, 증 페이지의 표시에서 끝 페이지의 숫자가 시작 페이지와 같은 숫자인 경우 끝 페이지에서 공통되는 숫자는 생략, 마지막에 마침표 기재
원, 증 인용 논문의 제목과 부제목은 대문자로 기재
원, 증 단행본의 기재 방법 준수
원, 증 단행본 중에서 chapter별 저자가 다른 경우의 기재 방법 준수
원, 증 간행중인 논문에 대한 참고문헌 기재 방법 준수
원, 증 제목은 영문으로 표기하고 약자 사용 금지
원, 증 표 속에 사용된 약자는 표 하단에 설명 기재
원, 증 표 및 그림 속에서 어깨부호 작성할 때 투고규정에 맞는 어깨부호로 기재
그림 및 사진 원, 증 흑백으로 게재를 원할 때는 흑백으로 컬러로 게재를 원할 때는 컬러로 작성
원, 증 Figure의 제목은 영문으로 표기, 따로 legend를 작성
원, 증 제목은 그림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는 완전한 영문 문장으로 작성
원, 증 그림은 선명한 것으로, 그림의 순서 번호와 상하좌우 표시를 뒷면에 기재
원, 증 조직 소견인 경우, 염색법과 현미경 배율 및 그림 내 척도 표시
원, 증 통계 표시가 필요한 경우 그림 속에 통계 표시
E-Submission
Email Alert
Author's Index
RVS endnote style download
A Case of Congenital Nystagmus Showing Reversed Optokinetic Nystagmus. Res Vestib Sci. 2023;22:95
The Korean Balance Society
KoreaMed
KoMCI
ScienceCentral
GoogleScholar
Similarity Check
Crossref Cited-by Linking
CrossMark
Funder Registry
ORCID
KOFST
COPE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877, Bangeojin sunhwando-ro, Dong-gu, Ulsan 44033, Republic of Korea
Tel: +82-52-250-7089   Fax: +82-52-250-7088   E-mail: bingbing@uuh.ulsan.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Balance Society.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