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Res Vestib Sci :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Res Vestib Sci > Volume 18(3); 2019 > Article
Original Article
맞춤전정운동에서 환자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 예비연구
류혜수1, 이민영1,2, 정재윤1,2, 최지은1orcid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in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A Pilot Study
Hye Soo Ryu1, Min Young Lee1,2, Jae Yun Jung1,2, Ji Eun Choi1orcid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2019;18(3):71-77.
DOI: https://doi.org/10.21790/rvs.2019.18.3.71
Published online: September 15, 2019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Cheonan, Korea

2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eon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Ji Eun Choi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201 Manghyang-ro, Dongnam-gu, Cheonan 31116, Korea Tel: +82-41-550-3975 Fax: +82-41-556-1090 E-mail: garimung@gmail.com
• Received: June 20, 2018   • Revised: August 21, 2019   • Accepted: August 24, 2019

Copyright © 2019 by The Korean Balanc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4,667 Views
  • 76 Download
prev next
  • Objectives:
    Numerous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effect of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cVE), but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satisfaction of cV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cVE.
  • Methods:
    A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on 37 patients who underwent cVE from January to November 2018.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0 items, including subjective symptom, compliance and satisfaction of exercise, preferred methods of exercise, and appropriate costs.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satisfaction, the clinical features, improvement of symptom, compliance, preferred methods of exercise were compared between satisfactory and unsatisfactory groups.
  • Results:
    Of the 20 patients who responded to the telephone survey (response rate 57%), 10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atisfactory group and the remaining 10 were included in the unsatisfactory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in age, sex, severity of subjective symptom before cVE, preferred methods of exercise. However, patients in the unsatisfactory group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chronic vestibulopathy and abnormal findings in dynamic posturography test than those in the satisfactory group. Subjective dizziness after cV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atisfactory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satisfactory group. These patients in the unsatisfactory group still had dizziness, but tended not to continue to exercise.
  • Conclusions:
    The satisfaction of cVE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chronic vestibulopathy, postural instability, less improvement of dizziness, and poor compliance.
어지럼은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 중 하나로, 국내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에 따르면 성인의 22%가 최근 1년 이내에 어지럼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한다[1]. 전정기능 저하는 어지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2012년 한 해 전정기능장애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85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된다[2]. 전정기능이 갑작스럽게 저하되면 초기에는 자발안진, 오심, 구토 및 평형이상을 수일 동안 경험하지만, 급성어지럼이 경감된 이후에는 움직일 때 유발되는 어지럼과 평형이상을 경험한다. 전정재활운동은 전정기능저하로 인한 어지럼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반복된 움직임을 통해 보상(뇌간-전정 신경핵의 긴장도 균형의 재조정)과 적응(전정 안구 반사의 기능 회복), 대치(시각, 체성 감각의 활용)의 기전을 이용하여 증상을 경감시키고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다[3,4].
전정재활운동은 대표적으로 기성운동과 맞춤운동으로 나뉜다. 정해진 운동을 일률적으로 사용하는 기성운동과 달리, 맞춤운동은 전문가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문제점에 따른 개별운동을 처방하며 재활운동의 교육과 관리의 과정이 필요하다[5]. 치료효과에 있어 기성운동보다 맞춤운동의 효과가 우수한 것은 알려졌지만[6,7], 국내에서 전정재활치료는 독립적인 수가를 받을 수 없어 전문적이고 적극적인 전정재활치료보다는 단순 생활 지도 및 유인물을 이용한 기성운동 안내 수준의 전정재활치료가 시행되어 왔었다. 맞춤전정운동은 말초성전정장애뿐만 아니라 중추성전정장애에서도 효과를 보이며[8-10], 어지럼 증상의 개선이외에도 균형 유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1-14]. 또한, 신체적인 효과만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14]. 이러한 맞춤전정운동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맞춤전정운동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단일기관에서 시행한 맞춤전정운동의 만족도에 관해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고, 만족도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와 선호하는 운동 방법 및 적정 비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1. 대상
2018년 1월부터 11월까지 본원에서 전정기능장애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맞춤전정운동을 시행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검토 및 전화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전화조사는 단일 연구자에 의해 2018년 11월에 시행되었으며, 부재 중인 경우 다른 날 재시도하여 최대 2회까지 연락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들에게 모두 통화 연결 시 설문 참여에 대한 동의 여부를 확인한 후 진행하였으며, 이 연구는 본원에서 임상시험심사위원회 DKUHIRB-2019-04-025의 승인을 얻어 시행하였다.
2. 맞춤전정운동
본원에서 시행하는 맞춤전정운동은 치료 전 평가, 운동처방, 치료 후 평가로 이루어지며, 소요 시간에 따라 1차 운동처방(A 유형)과 2차 운동처방(B 유형)으로 분류된다. 평가는 주관적 증상평가(vestibular visual analogue scale, disability scale,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자세 평가(Romberg test, functional reach test, 동적자세검사), 보행 평가가 포함되며(부록: Supplementary Fig. 1), 운동은 주시안정운동(전정안구반사운동, 능동적 눈-머리움직임운동, 표적상상운동), 습관화 운동, 동적자세 측정기(EquiTest, Neuro-Com International, Inc., Clackamas, OR, USA)를 이용한 자세안정훈련, 보행훈련으로 구성되었다(부록: Supplementary Fig. 2). 치료 전 평가의 결과에 따라 맞춤운동처방을 하며, 약 20분간 운동치료 후 가정에서 매일 하루에 세 번씩 15분 이상 시행하도록 권고하였다. 가정운동은 전정재활운동 기록지에 운동 시행 여부를 기재하도록 하였고, 1차 운동 처방 후 추가 운동치료가 필요한 경우 2차 맞춤전정운동을 처방하였다. 치료 중 전정 억제제는 투약하지 않았다.
3. 전화 설문조사
설문은 총 10문항으로, 질병 관련 특성, 맞춤전정운동의 이행양상 및 만족도, 선호하는 운동치료방법(소요 시간, 방문 횟수, 빈도) 및 적정 비용에 관해 조사되었다(부록: Supplementary Fig. 3). 질병 관련 특성은 현재 남아 있는 주관적 증상, 전정억제제 투약 여부를 포함하였다. 주관적 증상은 어지럼 정도(dizziness), 흐려보임 정도(oscillopsia), 자세 불안 정도(imbalance)의 3가지 증상의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 (VAS; 0–10)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15]. 전정억제제 투여는 3가지로 범주화(만성적: 어지럼이 있을 때 마다 복용, 간헐적: 어지럼이 있을 때 약을 복용하기도 하고 안하기도 하는 경우, 투약 안 함)하였다. 맞춤전정운동의 이행 양상은 최근 한달간 실천했는지 평가하기 위해 이행 빈도를 기준으로 5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이 중 시행하고 있지 않거나, 한달에 4회 미만 시행한 경우 맞춤전정운동을 시행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추가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맞춤전정운동의 만족도는 증상 완화에 얼만큼 도움을 받았는지 평가하기 위해 5가지로 범주화(전혀 도움되지 않았다, 조금 도움이 되었다, 보통으로 도움이 되었다, 꽤 많이 도움이 되었다, 아주 많이 도움이 되었다)하였다.
4. 자료 수집
전화 설문조사에 동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성별, 연령, 임상 양상 및 전정기능검사 결과에 대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어지럼의 임상 양상 및 전정기능에 따라 일측 전정병증, 양측 전정병증, 외상 후 현훈(posttraumatic vertigo), 지속적 체위-지각 어지럼(persistent postural-perceptual dizziness)으로 분류하였고, 전정병증은 2016년 미국물리치료협회가 제시한 전정재활치료의 임상진료지침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하였다[16]. 급성은 어지럼이 발생한지 2주 이내인 경우, 아급성은 어지럼이 발생한지 2주가 지났으나 3개월 이내인 경우, 만성은 어지럼이 발생한지 3개월 이상 지난 경우로 정의하였다.
5. 통계학적 검증
전화 설문조사를 토대로 맞춤전정운동의 만족군과 비만족군으로 나누어 질병 관련 특성, 맞춤전정운동의 이행 양상, 임상 양상을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검증은 SPSS ver. 18.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각 집단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Mann-Whitney test와 Fisher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맞춤전정운동 전과 후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모든 분석은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다고 해석하였다.
1. 응답률 및 인구학적 특성
맞춤전정운동을 시행한 총 37명 중 20명이 설문조사에 응하였으며 응답률은 54%였다. 이 중 응답을 하지 않은 17명 중 응답 거부는 5명(16%), 본인과 전화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12명(16%)이었다.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44±0세(연령 범위: 25–77세)이며, 성별은 여자 14명, 남자 6명이었다. 응답자 중 18명은 일측 전정병증으로 맞춤전정운동 처방을 받았으며, 이 중 급성은 5명, 아급성은 7명, 만성은 6명이었다. 그 외 외상 후 현훈이 1명, 지속적 체위-지각 어지럼이 1명이었다. 맞춤전정운동의 시행 횟수는 1회가 15명으로 가장 많았고, 2회는 3명, 7회는 2명이었다. 응답자들의 1차 맞춤전정운동 후 평균 추적 기간은 76±94일이었으며, 설문조사에 응하기까지 평균 155±101일의 기간이 있었다.
2. 맞춤전정운동의 만족도에 따른 특성
맞춤전정운동에 대한 도움 정도를 5가지로 범주화했을 때, ‘전혀 도움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4명, ‘조금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6명, ‘보통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명, ‘꽤 많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3명, ‘아주 많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2명이었다. 전화 설문조사의 응답에 따라, ‘전혀 도움되지 않았다/조금 도움이 되었다’로 응답한 10명을 비만족군, ‘보통/꽤 많이/아주 많이 도움이 되었다’로 응답한 10명을 만족군으로 분류하여 인구학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맞춤전정운동의 이행 양상, 임상 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Table 1은 만족군과 비만족군의 인구학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및 맞춤전정운동의 이행 양상을 비교한 결과이다. 두 집단 간의 연령, 성별, 주관적 증상 정도(VAS scores), 시행 횟수, 평균 추적 기간 및 설문조사까지 걸린 기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어지럼의 임상 양상은 만족군의 경우 급성과 아급성 일측 전정병증이 8명, 비만족군의 경우 만성 일측 전정병증이 6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두 집단 간의 임상 양상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8). 설문조사상 두 집단 모두 과반수 이상에서(10명 중 6명) 전정억제제는 복용하고 있지 않았다. 초기 치료 전 평가 시 시행한 동적자세운동 결과에서 감각구성검사상 체성감각, 시각, 전정기능 중 하나라도 이상이 있는 경우를 비정상으로 분류했을 때,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332), 비만족군(n=6)이 만족군(n=3)에 비해 비정상인 경우가 많았다. 최근 1개월간 맞춤전정운동의 이행 양상은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시행하고 있지 않는 응답자(만족군 4명과 비만족군 6명)들을 대상으로 이유를 비교했을 때,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응답의 차이를 보였다. 만족군의 경우 4명 모두 ‘현재 증상이 없음’이라고 응답을 하였지만 비만족군의 경우 대부분(6명 중 5명) ‘도움이 되지 않음’이라고 응답을 하였다.
Fig. 1은 만족군과 비만족군에서 주관적 증상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초기 평가와 설문조사 시 VAS 점수를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이다. 만족군의 경우 어지럼 정도(dizziness)의 VAS 점수가 맞춤전정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0.012), 비만족군의 경우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397). 하지만 흐려보임 정도(oscillopsia)와 자세불안 정도(imbalance)의 VAS 점수는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선호하는 운동치료 방법 및 적정 비용
Table 2는 선호하는 운동치료 방법 및 적정 비용에 대한 응답자 분포이다. 본원에서 시행하는 30–40분의 운동치료시간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70% (14명), ‘짧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20% (4명), ‘길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10% (2명)였다. 적정 방문 횟수는 1회가 65% (13명)로 가장 높았고, 2회가 10% (2명), 3회 이상이 10% (2명), 0회가 15% (3명)였다. 2회 이상의 방문 횟수가 적정하다고 응답한 대상자 4명 중 2명은 1주일에 1회의 빈도를 선호했으며, 나머지 2명은 2주에 1회의 빈도를 선호하였다. 본원에서 시행한 운동치료의 비용(15만원–10만원)에 대한 질문에는 ‘비싸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65% (13명)였으며, 나머지 35% (7명)는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비싸다’고 응답한 대상자 13명 중 6명의 대상자가 적정 비용을 대답하였고, 두 명은 5–10만원, 4명은 3–4만원이 적절하다고 대답하였다. 병원에 내원하여 운동하는 시간 및 횟수, 치료 비용에 대한 응답은 만족도 유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는 단일병원에서 맞춤전정운동을 시행 받은 37명의 환자들 중 2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을 통해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맞춤전정운동에 대한 도움 정도를 5가지로 범주화했을 때, “보통/꽤/아주 많이” 도움된 만족군 10명은 어지럼 정도의 VAS 점수가 맞춤전정운동 이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Fig. 1). 반면에, “전혀 도움이 안되거나”, “조금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비만족군 10명은 어지럼 정도의 VAS 점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기는 했으나 맞춤전정운동 전후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1). 따라서, 맞춤전정운동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주관적 증상이 호전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족군에서 증상의 호전이 유의하게 적은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첫번째로 비만족군의 경우 만성 일측 전정병증이 유의하게 많았으며 동적자세운동 결과에서 비정상 소견이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어(Table 1), 운동의 효과가 적었을 가능성이 크다. 만성적인 어지럼증이나 균형장애에 있어 빠른 중재가 개선된 결과에 더 도움이 된다는 보고[17]에 따라 이 연구 대상자들의 중재 시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두번째로, 비만족군의 경우 증상이 지속되나 처방된 맞춤전정운동을 지속하지 않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아 순응도의 감소로 인해 운동의 효과가 적을 가능성이 있다. 국내에서 발표된 맞춤전정재활운동의 순응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 맞춤전정운동의 만족도와 순응도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18]. 따라서, 만성어지럼을 호소하거나 자세안정유지에 이상이 있는 환자에서는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환자가 목표를 정확히 인지하고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순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19]가 보고되었는데, 맞춤전정운동을 처방하기 전 운동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목표를 설정하여 환자의 의지를 높이는 것이 좋다. 그 외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환자의 순응도와 현재 상태, 운동방법의 정확도를 확인하거나[12], 가상현실을 활용한 맞춤전정재활운동이 개발하여 환자의 흥미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20]. 선호하는 맞춤전정운동의 방법은 만족군과 비만족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절반 이상에서 본원을 1회 방문하여 30분 정도 운동을 시행 받길 원하였다(Table 2). 2회 이상 방문이 필요하다고 대답한 경우 1–2주마다 방문을 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본원에서 맞춤전정운동을 시행 받은 환자들이 대부분 1회 방문만 경험하였고, 절반 이상이 충주, 안성, 보령 등의 타지역에서 내원하여 교통의 불편함을 감안하면 선호하는 방문 횟수는 일반화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 주기적인 방문을 통해 적절한 난이도 향상과 스스로 운동의 효과를 경험함으로써 순응도를 높이는게 좋으나, 각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들의 특색에 맞게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가정운동 시간이 긴 경우 환자의 순응도가 감소되지 않도록 본인이 처방받은 운동이 요약된 유인물 혹은 자가 운동 기록지 등을 활용하거나 전화상담 등을 통한 재평가 방법의 정립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재활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 효과뿐만 아니라 환자의 대인관계, 재정과 기관의 접근성, 시설, 기술적인 질까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21]는 보고에 따라 만족도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에서 양측전정기능장애를 제외하여 다양한 임상적 양상을 파악하지 못한 점과 초기 평가로 설문조사가 체계적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한, 비만족군 10명 중 2명은 어지럼 증상이 5점 이상 좋아졌으나, 만족도가 낮았다는 점에서 임상 양상 이외 시설이나 환자의 편의성 등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하나 이러한 분석은 포함되지 않아 추후 내용을 보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환자들의 설문 시점이 달라 순응도 결과가 일률적이지 않았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환자별 맞춤전정운동의 처방 시점을 확인하여 중재 시기의 중요성을 논의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화설문상 맞춤전정운동의 만족도는 어지럼의 기간, 동적자세검사의 결과, 맞춤전정운동 후 어지럼의 호전 정도 및 순응도와 관련이 있었다. 맞춤전정운동의 치료 효과가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은 있으나, 일부 환자에서는 어지럼의 호전 여부와 관련 없는 경우가 있어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들은 이 논문과 관련하여 이해관계의 충돌이 없음을 명시합니다.

Supplementary Figs. 1-3은 온라인 (https://doi.org/10.21790/rvs.2019.18.3.71)을 접속하여 볼 수 있습니다.
rvs-18-3-71-suppl.pdf
Fig. 1.
Comparison of visual analogue scale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by groups. VAS, visual analogue scale.
rvs-18-3-71f1.jpg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atisfaction group and unsatisfaction group with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Variable Satisfaction group (n=10) Unsatisfaction group (n=10) p-value
Age (yr) 51±13 58±18 0.165a)
Sex, male:female 4:06 2:08 0.628b)
Classification 0.018b)
 Acute unilateral vestibulopathy 4 1
 Subacute unilateral vestibulopathy 4 3
 Chronic unilateral vestibulopathy 0 6
 Posttraumatic vertigo 1 0
 Persistent postural-perceptual dizziness 1 0
VAS scores (0–10) at assessment
 Dizziness 3.2±2.5 4.0±3.2 0.497a)
 Oscillopsia 0.1±0.3 0.7±1.7 0.661a)
 Unsteadiness 1.7±1.5 3.2±3.8 0.905a)
Result of dynamic posturograophy at assessment (normal: abnormal: not done) 2:6:2 6:3:1 0.332b)
No. of treatments, 1:2:≥2 times 6:2:2 (7 times) 9:1:0 0.373b)
Follow-up (day) 53±41 98±126 0.796a)
Period from treatment to survey (day) 137±76 173±123 0.912a)
Use of vestibular suppressant, chronic:intermittent:no 2:2:6 2:1:6 1.000b)
Frequency of exercise, daily:≥1–2 times/wk:never 2:4:4 1:3:6 0.714b)
Reason for not exercisingc), no symptoms:no effect 4:0 1:5 0.015b)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a) Mann-Whitney test.

b) Fisher exact test.

c) Responder who do not exercise in past 1 month.

Table 2.
Preferred exercise method and proper cost
Total Satisfaction group Unsatisfaction group p-value
Q) Was the treatment time (about 30 min) appropriate for a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1) Short (n=4) 1) Short (n=3) 1) Short (n=1) 0.777a)
 2) Appropriate (n=14) 2) Appropriate (n=6) 2) Appropriate (n=8)
 3) Long (n=2) 3) Long (n=1) 3) Long (n=1)
Q) How many times do you prefer to visit the hospital for a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1) Once (n=13) 1) Once (n=7) 1) Once (n=6) 0.178a)
 2) Twice (n=2) 2) Twice (n=2) 2) Twice (n=0)
 3) 3–4 times (n=2) 3) 3–4 times (n=1) 3) 3–4 times (n=1)
 4) Do not need (n=3) 4) Do not need (n=0) 4) Do not need (n=3)
Q) Was the cost of a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about 150,000 KRW) appropriate?
 1) Expensive (n=13) 1) Expensive (n=6) 1) Expensive (n=7) 1.000a)
 2) Reasonable (n=7) 2) Reasonable (n=4) 2) Reasonable (n=3)
 3) Inexpensive (n=0) 3) Inexpensive (n=0) 3) Inexpensive (n=0)

KRW, Korean won.

a) Fisher exact test.

  • 1. Park EK, Cho JW, Choi HG.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ubjective dizziness in Korean. Res Vestib Sci 2015;14:46–9.
  • 2. Kim JY, Jeong SY, Park SM, Hwang DG, Kho YT. Oriental medical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dizziness or vertigo. J Orient Neurochiatry 2015;26:225–34.ArticlePDF
  • 3. Jeon EJ.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497–507.ArticlePDF
  • 4. Rhee CK. Vestibular rehabilitation. Audiology 2010;6:1–9.ArticlePDF
  • 5. Jeon EJ.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497–507.ArticlePDF
  • 6. Shepard NT, Telian SA. Programmatic vestibular rehabilitatio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12:173–82.ArticlePubMed
  • 7. Szturm T, Ireland DJ, Lessing-Turner M. Comparison of different exercise programs in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peripheral vestibular dysfunction. J Vestib Res 1994;4:461–79.ArticlePubMed
  • 8. Lee H, Kim HA. The effect, compliance and satisfaction of customized vestibular rehabilitation: a single center experience. Res Vestib Sci 2019;18:14–8.ArticlePDF
  • 9. Vereeck L, Wuyts FL, Truijen S, De Valck C, Van de Heyning PH. The effect of early customized vestibular rehabilitation on balance after acoustic neuroma resection. Clin Rehabil 2008;22:698–713.ArticlePubMed
  • 10. Whitney SL, Rossi MM. Efficacy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Otolaryngol Clin North Am 2000;33:659–72.ArticlePubMed
  • 11. Giray M, Kirazli Y, Karapolat H, Celebisoy N, Bilgen C, Kirazli T. Short-term effects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unilateral vestibular dysfunctio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9;90:1325–31.ArticlePubMed
  • 12. Horak FB, Jones-Rycewicz C, Black FO, Shumway-Cook A. Effects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on dizziness and imbalance.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2;106:175–80.ArticlePubMed
  • 13. Marioni G, Fermo S, Zanon D, Broi N, Staffieri A. Early rehabilitation for unilateral peripheral vestibular disorders: a prospective, randomized investigation using computerized posturography.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3;270:425–35.ArticlePubMedPDF
  • 14. Teggi R, Caldirola D, Fabiano B, Recanati P, Bussi M. Rehabilitation after acute vestibular disorders. J Laryngol Otol 2009;123:397–402.ArticlePubMed
  • 15. Whitney SL, Herdman SJ. Physical therapy assessment of vestibular hypofunction. In: Herdman SJ editors. Vestibular rehabilitation. 3rd ed. Philadelphia (PA): FA Davis Co; 2007. p.333–72.
  • 16. Strupp M, Kim JS, Murofushi T, Straumann D, Jen JC, Rosengren SM, et al. Bilateral vestibulopathy: diagnostic criteria consensus document of the Classification Committee of the Bárány Society. J Vestib Res 2017;27:177–89.ArticlePubMedPMC
  • 17. Whitney SL, Alghadir AH, Anwer S. Recent evidence about the effectiveness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Curr Treat Options Neurol 2016;18:13. ArticlePubMedPDF
  • 18. Marioni G, Fermo S, Lionello M, Fasanaro E, Giacomelli L, Zanon S, et al. Vestibular rehabilit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entral vestibular dysfunc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pilot study. Age (Dordr) 2013;35:2315–27.ArticlePubMedPDF
  • 19. Klatt BN, Carender WJ, Lin CC, Alsubaie SF, Kinnaird CR, Sienko KH, et al.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progression of balance exercises in persons with balance and vestibular disorders. Phys Med Rehabil Int 2015;2(4). pii:1044.
  • 20. Jeon EJ. Review for update on vestibular rehabilitation. Res Vestib Sci 2016;15:31–8.ArticlePDF
  • 21. Keith RA. Patient satisfaction and rehabilitation services. Arch Phys Med Rehabil 1998;79:1122–8.ArticlePubMed
  • 22. Wang JM, Kim DJ. Assessment of the spinal pain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J Korean Soc Spine Surg 1995;2:177–84.
  • 23. Han GC, Lee EJ, Lee JH, Park SN, Lee HY, Jeon EJ. The study of standardization for a Korean adaptation of self-report measures of dizziness. J Korea Bal Soc 2004;3:307–25.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in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A Pilot Study
        Res Vestib Sci. 2019;18(3):71-77.   Published online September 15, 2019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Related articles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in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A Pilot Study
      Image
      Fig. 1. Comparison of visual analogue scale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by groups. VAS, visual analogue scale.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in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A Pilot Study
      Variable Satisfaction group (n=10) Unsatisfaction group (n=10) p-value
      Age (yr) 51±13 58±18 0.165a)
      Sex, male:female 4:06 2:08 0.628b)
      Classification 0.018b)
       Acute unilateral vestibulopathy 4 1
       Subacute unilateral vestibulopathy 4 3
       Chronic unilateral vestibulopathy 0 6
       Posttraumatic vertigo 1 0
       Persistent postural-perceptual dizziness 1 0
      VAS scores (0–10) at assessment
       Dizziness 3.2±2.5 4.0±3.2 0.497a)
       Oscillopsia 0.1±0.3 0.7±1.7 0.661a)
       Unsteadiness 1.7±1.5 3.2±3.8 0.905a)
      Result of dynamic posturograophy at assessment (normal: abnormal: not done) 2:6:2 6:3:1 0.332b)
      No. of treatments, 1:2:≥2 times 6:2:2 (7 times) 9:1:0 0.373b)
      Follow-up (day) 53±41 98±126 0.796a)
      Period from treatment to survey (day) 137±76 173±123 0.912a)
      Use of vestibular suppressant, chronic:intermittent:no 2:2:6 2:1:6 1.000b)
      Frequency of exercise, daily:≥1–2 times/wk:never 2:4:4 1:3:6 0.714b)
      Reason for not exercisingc), no symptoms:no effect 4:0 1:5 0.015b)
      Total Satisfaction group Unsatisfaction group p-value
      Q) Was the treatment time (about 30 min) appropriate for a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1) Short (n=4) 1) Short (n=3) 1) Short (n=1) 0.777a)
       2) Appropriate (n=14) 2) Appropriate (n=6) 2) Appropriate (n=8)
       3) Long (n=2) 3) Long (n=1) 3) Long (n=1)
      Q) How many times do you prefer to visit the hospital for a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1) Once (n=13) 1) Once (n=7) 1) Once (n=6) 0.178a)
       2) Twice (n=2) 2) Twice (n=2) 2) Twice (n=0)
       3) 3–4 times (n=2) 3) 3–4 times (n=1) 3) 3–4 times (n=1)
       4) Do not need (n=3) 4) Do not need (n=0) 4) Do not need (n=3)
      Q) Was the cost of a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about 150,000 KRW) appropriate?
       1) Expensive (n=13) 1) Expensive (n=6) 1) Expensive (n=7) 1.000a)
       2) Reasonable (n=7) 2) Reasonable (n=4) 2) Reasonable (n=3)
       3) Inexpensive (n=0) 3) Inexpensive (n=0) 3) Inexpensive (n=0)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atisfaction group and unsatisfaction group with customized vestibular exercise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Mann-Whitney test.

      Fisher exact test.

      Responder who do not exercise in past 1 month.

      Table 2. Preferred exercise method and proper cost

      KRW, Korean won.

      Fisher exact test.


      Res Vestib Sci :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TOP